본문 바로가기

심리학/관계심리

성숙한 사랑 이란 : 깊고 단단한 사랑의 조건

 성숙한 사랑은 열정보다 이해, 기대보다 존중에서 자랍니다.

심리학이 말하는 깊고 단단한 사랑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누군가를 사랑하는 건 쉽습니다.
하지만 사랑을 유지하는 건 어렵습니다.

심리학자 에리히 프롬(Erich Fromm)은 '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기술이다.'라고 말했습니다.

 

우리는 흔히 사랑을 ‘느끼는 것’으로만 생각하지만
성숙한 사랑은 ‘관리하는 능력’ 즉 감정을 다루는 힘에서 시작됩니다.

 

1. 성숙한 사랑은 ‘의존’이 아닌 ‘자립’ 위에 섭니다.

미성숙한 사랑은 이렇게 말합니다.

“나는 당신이 없으면 안 돼.”

하지만 성숙한 사랑은 이렇게 바뀝니다.

“나는 나로서 충분하고, 당신은 그 위에 더해지는 기쁨이야.”

 

심리학적으로 이것은 자기 분화 결과입니다.
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구분할 수 있는 사람만이
상대에게 의존하지 않고 연결될 수 있습니다.

 

사랑을 잃을까 두려워 상대에게 맞추는 건 헌신이 아니라 불안의 표현입니다.
성숙한 관계는 같이 있음에도 각자의 영역이 존재하는 상태입니다.

 

2. 성숙한 사랑의 3가지 심리적 조건

1)  감정보다 ‘책임’을 중시합니다.

 사랑의 초반에는 감정이 강하지만,
시간이 지나면 그 에너지는 서서히 줄어듭니다.
그때부터 관계를 지탱하는 건 감정이 아니라 책임감 있는 선택입니다.

 

 심리학자 스턴버그(Sternberg)의 ‘삼각형 사랑 이론’에 따르면,
성숙한 사랑은 열정 + 친밀감 + 헌신이라는 세 요소의 균형으로 완성됩니다.
즉 감정은 ‘시작점’이고  헌신은 ‘지속력’인 것입니다.

2)  다름을 ‘수정’하려 하지 않습니다.

 우리는 종종 사랑을 '나에게 맞는 사람을 찾는 일'로 오해하지만
사랑은 '다른 사람을 받아들이는 연습'에 더 가깝습니다.

 

성숙한 사랑은 ‘수정’이 아닌 ‘이해’의 과정입니다.
상대의 단점을 고치려 하기보다는
그 단점이 생긴 원인을 이해하려 할 때
관계는 비로소 안정됩니다.

 

심리학에서는 이것을 관용적 공감이라고 부릅니다.
그 사람의 다름이 불편하지 않은 순간에
비로소 진짜 친밀함이 시작됩니다.

 

3)  상처가 있어도 도망치지 않습니다.

성숙한 사랑은 완벽한 관계가 아니라
불완전함을 함께 견디는 관계입니다.

갈등이 생겼을 때 회피하지 않고
감정을 말로 정리하고
서로의 상처를 존중하는 것 
그게 바로 ‘정서적 회복력'입니다.

 

사랑은 '문제가 없는 게 아니라 문제를 해결할 힘'이 있는 것입니다.

 

성숙한 사랑 이란 : 깊고 단단한 사랑의 조건

3. 결국 성숙한 사랑이란 ‘함께 성장하는 관계’입니다.

성숙한 사랑의 깊이는 얼마나 오래 함께 있었는가 보다
얼마나 함께 성장했는가로 측정됩니다.

 

성숙한 사랑은 상대를 내 세계에 가두는 게 아니라
서로의 세상을 넓혀주는 일입니다.

 

그리고 그 사랑이 끝나더라도
그 사람 덕분에 더 나은 내가 되었다면
그 관계는 이미 성공적인 사랑인 것입니다.

 

-맺음말-

사랑이 식는 게 아니라 사랑의 형태가 바뀌는 것입니다.

성숙한 사랑은 사랑이 끝나도 남는 게 있습니다. 그것은 바로 '그 사랑이 만들어준 나 자신'입니다.

지금 이 순간 나와 그의 관계를 점검해 보고 성숙한 사랑으로 이어가시길 바랍니다.